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리마 증후군(Lima Syndrome): 납치범이 인질에게 감정적 유대감을 느끼는 심리 현상

by 찬 셜리 커스버트 2025. 1. 14.

**리마 증후군(Lima Syndrome)**은 납치범이 자신이 잡은 인질에게 감정적 유대를 느끼고, 이로 인해 인질을 학대하거나 해치지 못하는 심리적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납치범이 점차 인질에 대해 연민을 느끼거나,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는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리마 증후군은 **스톡홀름 증후군(인질이 납치범에게 동화되는 현상)**의 반대 현상으로, 두 증후군 모두 납치 상황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 심리적 반응을 보여줍니다.


1) 리마 증후군의 유래

리마 증후군은 1996년 페루의 수도 리마에서 발생한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투파크 아마루 혁명운동(Túpac Amaru Revolutionary Movement) 소속 반군이 일본 대사관에서 500여 명을 인질로 잡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반군은 인질들에게 연민과 동정심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반군은 인질을 점차 풀어주기 시작했고, 사건은 비교적 큰 피해 없이 종료되었습니다. 이후 이 심리적 현상을 리마 증후군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2) 리마 증후군의 특징

  1. 납치범의 심리적 변화
    납치범은 인질을 억압하거나 지배하는 입장에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질의 고통이나 두려움을 공감하게 됩니다. 이러한 공감은 납치범의 행동을 변화시키며, 인질의 요구를 들어주거나 해를 가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감정적 유대 형성
    납치범과 인질 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인간적인 관계가 형성됩니다. 납치범은 인질을 단순한 목표의 도구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3. 위협 감소
    납치범은 인질에게 해를 가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이며, 심지어 인질을 보호하려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협상 과정에서 납치 상황을 비교적 평화적으로 종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리마 증후군이 발생하는 원인

  1. 심리적 압박과 죄책감
    납치 상황 자체가 납치범에게도 극심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인질을 인간적으로 바라보게 되면, 죄책감이 생기고 공격적인 태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됩니다.
  2. 인질의 행동
    인질이 납치범에게 공감적 태도를 보이거나, 두려움을 드러내며 인간적인 면모를 강조할 경우, 납치범은 이를 통해 연민을 느낄 가능성이 커집니다.
  3. 납치범의 개인적 성향
    납치범의 성격, 가치관, 윤리적 기준 등이 리마 증후군의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납치범이 인간적 감정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성향이라면, 인질과의 유대감이 더 쉽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4. 장기적인 상호작용
    납치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납치범과 인질 간의 대화와 상호작용이 증가하면, 인간적 관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리마 증후군의 중요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4) 리마 증후군의 사례

  1. 1996년 페루 일본 대사관 사건
    리마 증후군의 대표적 사례로, 반군은 500여 명의 인질을 점차 풀어주었으며, 이후 이 현상이 학문적으로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2. 타 납치 사건
    다른 납치 사건에서도 리마 증후군이 나타나는 경우가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납치 상황이 장기화되고, 인질과 납치범 간에 대화와 상호작용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현상이 관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리마 증후군의 심리적·사회적 시사점

  1. 인간적 상호작용의 힘
    리마 증후군은 인간 간의 상호작용이 극단적인 상황에서도 감정과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상대방을 인간적으로 대하는 태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합니다.
  2. 갈등 상황에서의 협상 가능성
    리마 증후군은 갈등 상황에서 인간적 유대를 활용하면 협상의 여지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이는 인질 협상 전문가들이 상황을 해결하는 데 참고할 만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3. 폭력과 공감의 관계
    폭력적 상황에서도 인간적 감정과 공감은 폭력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심리학과 갈등 해결 이론에서 주목받는 주제입니다.

리마 증후군은 납치 상황이라는 극단적인 환경에서 인간적 감정과 상호작용이 어떻게 행동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단순히 납치범의 심리 현상을 넘어, 인간 관계와 갈등 상황에서의 심리적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